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에 도메인 연결은 해야 할까? 고민중이라면 읽어보세요

행복템 2025. 1. 11.

티스토리를 운영하다 보면 첫 번째 고민이 시작돼요.

도메인 연결은 해야 할까? 아니면, 그냥 티스토리 기본 주소로 할까?라는 고민이요.

도메인을 연결하면 전문성이 있을 것 같고 굳이 필요할까? 하는 의문도 들어요. 도메인 연결은 비용과 시간이 드는 일인 만큼 쉽게 결정하기 어려워요

곰곰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기로 했어요

도메인 연결 장점과 단점

구분 장점 단점
브랜딩 전문적이고 깔끔한 이미지 제공 도메인 등록 및 유지 비용 발생
SEO 검색 엔진에서 신뢰도 상승, 상위 노출 가능성 증가 기술적인 설정이 필요 (DNS 설정, 네임서버 변경 등)
공유 및 접근성 짧고 간결해 외우기 쉽고, 공유 시 신뢰감 상승 도메인 만료 관리 필요, 갱신을 놓치면 접속 불가
수익화 애드센스, 협찬 등 수익화에 유리 초기 설정 과정이 초보자에게는 다소 복잡할 수 있음
장기 운영 장기적으로 블로그 운영 시 유리 블로그 운영 초기에는 비용 부담이 될 수 있음

 
이 표를 통해 도메인 연결의 장단점을 한눈에 쉽게 비교할 수 있어요. 그런데, 정말 고민은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워드프레스를 운영 할 때는 도메인 고민을 하지 않잖아요. 다 구입해야 하니까요. 그래서 저는 그냥 익숙해져 있는 도메인을 연결 하기로 했어요. 이것이 잘한 선택일지 잘 못한 선택일지는 모르겠지만 고민하지 않았어요.

한번, 비교도 해볼게요.

비교하기 ( 필요한 경우, 필요하지 않은 경우)

구분 도메인이 필요한 경우 도메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운영 목적 블로그를 브랜드로 성장시키고 싶은 경우 취미로 가볍게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
전문성 강조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드러내고 싶은 경우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전문성보다는 자유로운 운영을 원하는 경우
수익화 애드센스, 제휴 마케팅, 협찬 등 수익화를 계획하는 경우 수익화 계획 없이 개인적인 기록이나 일기 용도로 운영하는 경우
검색 엔진 최적화 검색 엔진에서 상위 노출을 목표로 하는 경우 검색 노출보다는 소규모 커뮤니티에서 소통을 중시하는 경우
홍보 및 공유 SNS, 명함, 광고 등에서 블로그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싶은 경우 지인들과만 공유하거나 홍보를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경우
운영 기간 장기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할 계획이 있는 경우 단기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거나 일시적인 프로젝트용 블로그일 경우
브랜드 통합 여러 개의 블로그를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해 운영하고 싶은 경우 블로그가 하나뿐이거나 통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신뢰도 및 인지도 블로그의 신뢰도와 인지도를 높이고 싶은 경우 블로그 방문자 수나 신뢰도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경우

 
이 표를 통해서 자신의 블로그 운영 목적을 생각해 보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아래 도메인 연결이 필요한 경우와 도메인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찬찬히 보시고 결정하세요

도메인 연결이 필요한 경우

도메인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신뢰도와 전문성이에요. 독립된 도메인을 쓰면 훨씬 깔끔하고 믿음직스럽거든요. 특히 애드센스 광고를 달거나 협찬을 받을 때.독립 도메인을 더 신뢰하는 경우가 많아요.

홍보나 공유가 편해요. 짧고 간단한 도메인은 S엔에스나 명함에 적기 쉽고 사람들이 외우기도 쉽죠. 블로그를 좀 더 진지하게 운영하고 싶다면 독립 도메인이 꽤 든든한 무기가 될 거예요

도메인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도메인이 꼭 필요한 건 아니에요. 취미로 가볍게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라면 기본 주소로도 충분하죠. 친구나 가족끼리 일상을 공유하거나 개인 기록 용도로 쓴다면 굳이 비용을 들여서 도메인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요

수익 하나 전문성을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면 기본 기본 도메인으로도 무리 없이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어요. 도메인 연결이 검색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콘텐츠가 더 중요한 경우가 많거든요. 재미로 시작하는 블로그라면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주소만으로도 충분히 잘 운영돼요

장기적인 계획이 없는 경우도 도메인은 필요 없어요. 잠깐 운영해보거나 특정 이벤트나 프로젝트용으로 블로그를 만든다면 기본 주소로 가볍게 시작하는 게 좋아요. 도메인은 갱신도 해야 하고 관리할 게 생기니까 부담을 지르고 싶다면 그냥 기본 주소가 편하죠

도메인 연결하기

필요하다고 판단 됐을 때 도메인 이름을 만들고, 도메인 연결을 해볼게요.

먼저 티스토리에 가입을 해야겠죠. 처음접하는 티스토리 가입이 까다로울 수 있는데, 유튜브를 보고 가입과 설정을 따라하면 아주 쉽게 할 수 있어요.

 

도메인은 좀 쉽게 가려고 국내 업체인 호스팅케이알에서 구매했어요. 호스팅케이알 가입을 하고 티스토리와 연결을 준비해야 해요.

 

호스팅케이알은 국내업체라서 하다가 잘 모르겠으면 직접 전화연결을 해서 도움을 받아도 괜찮아요. 저도 블로그-티스토리를 찾지 못해서 전화연결을 해서 진행을 했어요. 아래 빨간색 박스를 보면 쉽게 찾을 수 있어요.

 

호스팅케이알 티스토리 연결하기

 

호스팅케이알 설정이 끝났다면, 티스토리 홈으로 이동해서, 티스토리관리 홈 > 블로그 > 기본 도메인 설정 > 도메인 연결하기를 하면 됩니다.

 

1번은 각 호스팅업체의 연결 방법이 나오는데 위에서 이미 호스팅케이알과 티스토리 연결을 했으니, 티스토리에 호스팅케이알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하면 돼요. 2번에 새로산 도메인을 넣고, 3번 변경사항 저장을 하시면 됩니다.

 

 

DNS 설정정보에 확인완료가 뜨면 연결이 잘 되었다는건데, 만약 확인 완료가 뜨지 않으면 호스팅케이알과 티스토리 연결에 문제가 생긴 것이니 삭제를 하시고 다시 처음부터 해야헤요. 보안접속 인증서는 발급 대기중이라고 뜨느데, 시간이 지나면 발급완료가 됩니다.

이렇게 도메인 연결까지 했어요.

 

 

 

글을 마치며

티스토리에 도메인 연결은 해야 할까? 고민중이라면, 블로그를 통해 무엇을 얻고 싶은지에 따라 도메인 연결 여부를 결정하면 됩니다. 부담을 느끼지 않고 꾸준히 블로그를 운영하는 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는 걸 잊지 마세요.

 

나의 티스토리 성장기 기록으로 남기다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 중 나에게 맞는 블로그 플랫폼은?

댓글